2009. 7. 14. 06:02
"네 생각은 나와 달라." 관용을 아는 아이로 키우고 싶어요. 홍콩/여행/육아/초딩아들 키우기2009. 7. 14. 06:02
아내의 육아일기에서 발췌, 정리한 내용입니다.
'다르다'와 '틀리다' |
다양한 색과 모양이 어울린 수조관이 더 아름답지 않은가.
아이들은 주변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은연중에 전부 흡수해서 따라한다. 어릴때 가장 오랜 시간을 함께 하는 것은 부모님이나 선생님. 부모님이나 선생님은 늘 정답을 가지고 있으면서 아이의 행동을 판단하고 가르킨다. "그렇게 하면 안되는거야.","그래, 맞아." 주위사람들의 그런 반응은 아이에게 모든 행동에는 '옳은 행동'과 '틀린 행동'이 있다는 걸 심어준다.
단순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 세상을 단순화하다보니 세상을 '선'과 '악', '옳고, 그른 것'으로 이분화하게 가르킨다. 그래서 동화속 세상에는 주인공과 주인공의 반대편에 있는 악당이 존재한다. 그렇게 세상을 바라보니, 자신과 다른 것은 틀린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세상의 '선'과 '악'사이에 매우 넓은 회색지대가 존재하고 있다는 걸 깨닫는다.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사람은 객관적으로 사고하기 위해 노력하며, 나와 다른 타인의 생각과 행동들을 존중하면서도 비판적으로 바라볼 줄 안다. 그것이 아마 홍세화씨가 <나는 파리의 택시운전사>에서 이야기했던 똘레랑스 정신이 아닐까 한다.
관용, 타인에 대한 상호존중 |
아이들은 주관적이다. 내가 아프면 남도 아플 것이라고 생각하고, 내가 좋아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도 좋아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어른들은 관심없지만 자기가 좋아하는 놀이를 어른들이 함께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아이와 대화를 많이 나누며, 상황에 따라 사람마다 다른 의견이 있음을 주지시켜야 한다. 역할극을 통해 타인의 입장에 서보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
할로윈 의상으로 개성을 뽐내는 아이들과 선생님.
아이가 한동안 한국위인전과 애국심을 강조한 책을 읽더니,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하기 시작했다. 국수주의적인 발상을 가지고, 대한민국이 세상에서 제일 좋은 나라이며 다른 나라는 덜 좋다라는 발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한국인으로서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나라는 모국이다. 늘 내 나라, 내 뿌리에 대해 생각하고 감사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문제는 다른 나라는 무시하고, 우리 나라만 인정하다보면 결국 세상에 적을 만들고 고립된다는 것이다. 이미 각 나라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고립되어 살 수 없는 시대다. 정말 애국하는 길은 다른 나라를 무시하고 그 위에 올라서려는 것이 아닌, 다른 나라를 지구촌 이웃으로 인정하고 우호적인 관계 속에서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아닐까 한다.
타인/타국에 대한 존중은 결국 나 자신에 대한 존중으로 되돌아 오기 마련이다. 나와 '다른' 타인과 함께 살면서 스펙트럼 무지개처럼 아름다운 세상의 색을 만들어 가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
'홍콩/여행/육아 > 초딩아들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랑스러운 우리 음식 김치를 지키자. (32) | 2009.07.17 |
---|---|
아이들에게는 실패할 권리가 있다. (70) | 2009.07.16 |
"네 생각은 나와 달라." 관용을 아는 아이로 키우고 싶어요. (3) | 2009.07.14 |
초복맞이 대공개, 에어컨 없어도 시원하게 여름나기 (19) | 2009.07.14 |
캠핑의 로망, 달콤한 마시멜로 구워먹기 (37) | 2009.07.12 |
[호기심키친] 콜라를 끓이면 어떻게 될까? (41) | 2009.07.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그쵸...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인데...
사람들은 그것을 인정하지 못할때가 너무 많아요...그래서 서로 아규도 생기고....쩝...
다른 모습을 인정하지 못하고 다 비슷한 모습이길 기대하면 세상이 재미없어지는데 말입니다.
지구촌이란 말 참 잘 만들어진 단어 같아요.
아이들의 마음속에 깃든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과 함께
세상을 향한 넉넉한 마음까지를 가져보길 저도 바란답니다. ^^